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화학, 호르몬에 대하여

by 루다온다 2023. 3. 4.

 

소화 기관에서는 침이나 위액 등이 분비되며 피부에서는 땀이 분비된다. 이와 같이 피부나 소화 기관처럼 몸의 외부(소화 기관인 위와 장은 피부와 마찬가지로 몸의 외측이라고 할 수 있다)에서 분비되는 액체에 대하여 몸 속의 분비선에서 분비되어 몸 속의 생화학 반응을 제어하는 조절제를 호르몬이라고 한다. 암수와 같은 성별을 결정하는 성호르몬이나 성장 호르몬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호르몬이 있다. 우리들의 몸 속에는 8개의 내분비선이 있으며 여기서 25종류의 호르몬을 혈액 속에 보내고 있다. 

 

이러한 호르몬에 의하여 성장, 기능의 발달, 신진 대사 및 생식 등의 활동이 제어되고 있다. 호르몬은 효소와 마찬가지로 단백질의 일종으로 결여되거나 과잉되면 여러 가지 신체 기능에 장애가 일어난다. 즉 당뇨병, 갑상선종, 거대증, 왜소증, 성 기능 장애 등 여러 가지 병의 근원이 된다. 또한 아드레날린이 과잉 분비되면 자주 화를 내는 등 감정이 흥분되기도 한다. 확실하게 밝혀진 인체의 내분비선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췌장, 신장, 부신, 고환 및 난소의 8가지다. 

 

아드레날린은 단순한 호르몬 가운데 하나로 에피네프린이라고도 하며 신장의 상부에 있는 부신에서 분비된다. 아드레날린은 스트레스, 공포, 분노 등의 상황을 몸 속에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여건이 조성되면 부신은 혈액에 아드레날린을 분비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심장 고동과 호흡이 빨라져 혈관이 수축하고 글리코겐이 급속하게 α글루코오스로 변하는 일련의 현상이 일어난다. 이렇게 순간적으로 생성된 글루코오스는 긴박한 몸의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인슐린은 당뇨병의 치료제로 잘 알려져 있는 반면 내분비 호르몬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찌 않다. 지금으로부터 100년정도 전에 췌장이 제거되면 당뇨병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그 후에 인슐린의 결핍이 당뇨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인슐린은 췌장 속의 섬 모양으로 흩어진 내분비선인 랑게르한스섬에서 만들어지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주로 세포막에서 세포가 글루코오스를 소비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인슐린은 21개 단위의 아미노산과 30개 단위의 아미노산이 황과 황에 의한 가교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 만들어진 호르몬이다. 

 

인슐린 단백질이 파괴되면 단순한 777원자의 화합물이 되며 인슐린을 경구 투여하면 다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소화되어 폴리펩티드 조각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혈액 속의 인슐린이 결핍되면 혈액 속의 글루코오스를 글리코겐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없게 되므로 항상 인슐린을 투여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구 투여는 앞에서 본것처럼 효과가 없으므로 피하 주사로 공급하여야 한다. 

 

인슐린은 당뇨병 환자에게는 꼭 필요한 약이지만 복잡한 단백질이므로 합성할 수 없다. 따라서 소와 돼지 등의 췌장에서 채취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곤란하고 또한 사람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다소 차이가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 공학의 발달로 대장균에 인슐린 합성 유전자를 이식하여 사람의 인슐린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 결과 인슐린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