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화 탄화수소, 즉 탄소가 단일 결합만으로 결합되어 있는 알칸류에 대하여 1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간 이중 결합을 사슬 속에 갖고 있는 탄화수소를 알켄류라고 한다. 나이드신 분들은 울레핀탄화수소라고 하는 이름에 친밀감을 느끼리라 생각된다. 올레핀, 즉 알켄은 알칸에 비하여 수소 원자가 부족하므로 불포화 탄화수소라고도 한다.
알켄의 공통적인 화학식은 CnH₂n으로 시클로알칸과 같지만, 시클로알칸에는 탄소의 이중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알켄은 알칸과 비교하여 다른 원소와 반응이 일어나기 쉽고 이중 결합을 하고 남은 전자 쌍이 그것에 닿은 수소 원자의 전자와 쌍을 이루며 결합하여 포화 탄화수소로 변하거나 또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 화합물을 생성한다. 혹은 다른 알켄의 불포화 부분과 결합하여 중합하기도 한다.
가장 간단한 알켄족 화합물은 에틸렌, 즉 에텐으로 단 하나의 탄소, 탄소간 이중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중 결합한 것을 에틸렌 결합이라고도 한다. 에틸렌의 분자식은 C₂H4이다. 알켄류의 어미는 모두 '엔'으로 끝난다. 즉 에텐, 프로펜, 부텐 등인데 이는 알칸류의 에탄, 프로판 등과 혼동하기 쉬우므로 어미를 '틸렌'이라고 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틸렌이 붙은 이름은 공업과 관계된 분야에서 주로 쓰인다.
알켄을 화학식으로 나타낼 경우는 이중 결합을 주사슬 속에 기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중 결합에 가장 가까운 주사슬의 끝부터 번호를 붙인다. 에텐과 프로펜에는 구조 이성질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프로펜은 CH₂=CHCH₂CH₃나 CH₃HC=CH₂처럼 그 형태를 뒤집어도 같은 것이 된다. 그러나 부텐 C₄H8의 경우는 이중 결합이 다른 위치로 들어갈 수 있으며 CH₂=CHCH₂CH₃나 CH₃HC=CHCH₃와 같이 2개의 이성질체가 만들어진다. 이 때 앞의 것은 1-부텐, 뒤의 것은 2-부텐이라는 식으로 이중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를 이름 앞에 붙인다. 한편 세 번재 탄소에 3-부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뒤집으면 1-부텐과 같아지므로 3-부텐이라는 이성질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부텐은 탄소,탄소간의 이중 결합이 비교적 견고하여 분자 내에서 원자의 이동이 쉽지 않으므로 새로운 종류의 기하학적 이성질체를 만든다. 예를 들어 2-부텐은 2개의 구조를 갖는다. 결국 이중 결합에 대하여 같은 원자 또는 원자단이 같은 쪽에 오는지, 대각선 쪽에 오는지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이 때 같은 쪽에 같은 원자 또는 원자단이 있는 경우를 시스라 하고 대각선 쪽에 오는 경우를 트랜스라고 하며 각각을 이름의 접두어로서 부기한다. 즉 시스-2-부텐, 트랜스-2-부텐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기하학적 이성질체는 알켄뿐만 아니라 여러 화합물에도 있으며 이는 유기 화합물의 특성과 관계가 있다.
댓글